*“던”與現(xiàn)在時“는”(用于動詞)“ㄴ(은)”(用于形容詞及體詞謂詞形)的用法的區(qū)別:
이국땅에서 방랑생활을 하는 아들의 모습이 자꾸 나의 눈앞에 떠오르군한다.在異國土地上過著流浪生活的兒子的形象,總是不斷浮現(xiàn)在我的眼前。(仍在流浪)
이국땅에서 방랑생활을 하던 아들이 어제 집으로 돌아왔어요.
在異國土地上過流浪生活的兒子昨天回了家。(流浪已中斷)
*不能互換:
내가 쓰는 만년필은 아버지께서 중학교 때 쓰시던 만년필이다.
我現(xiàn)在用的鋼筆是爸爸在中學(xué)時用過的筆。
*“던”與過去時“ㄴ(은)”(用于動詞)的區(qū)別:
*“던”與過去時“ㄴ(은)”(用于動詞)的區(qū)別:
먹은 찰떡이 잘 소화되지 않는다.
吃下去的糯米打糕不好消化。(動作完了)
먹던 찰떡을 상우에 놓았다.
把吃剩的糯米打糕放在桌子上。(動作中斷,沒吃完)
2)表示單純回想過去某一事實。(不強調(diào)回想,也可以用“는”)如:
우리가 떠나던 날에 편지가 왔다. 在我們動身的那一天來了信。
표창을 받던 순간부터 나는 가슴이 뒤설레이지 않을 수 없었다.
受到表揚的那瞬間,我的心情非常激動。
3)“던”還可與“았(었,였)”連用,構(gòu)成“았던(었던,였던)”,表示下列意思:
①表示動作已完成,由它產(chǎn)生的狀態(tài)保持一個階段,該狀態(tài)中斷,轉(zhuǎn)入另一個動作或狀態(tài)。如果把定語換成接續(xù)謂語表達,可用“았다가(었다가,였다가)”。如:
교실로 돌아갔던(가있던) 학생들 다시 운동자에 모이기 시작했다.(=돌아가다가 다시 모이기 시작했다)
回到教室的學(xué)生又開始在操場上集合。
옆에 앉았던(앉아 있던) 왕선생이 일어서서 발언했다.(=앉았다가 일어서서 발언했다.) 坐在一旁的王先生站起來發(fā)了言。
②表示由過去已經(jīng)完成的某動作轉(zhuǎn)入另一情況。這時,由“았던(었던,였던)”表示的定語如換成接續(xù)謂語來表達時,可用“앗다가(었다가,였다가)”。如:
그는 품안에 감추었던 돈지갑을 꺼내어 겉주머니속에 넣었다.(돈지갑을 품안에 감추었다가 꺼내어 겉주머니속에 넣었다).
他掏出了藏在懷里的錢包,把它放在外邊口袋里。
회의에 참석했던 대표단 54명은 어제 오전 8시에 북경을 떠나 귀국했다.(=회의에 참석했다가 어제 오전 8시에 북경을 떠나 귀국했다).
參加會議的代表團五十四名成員昨天上午八時離開北京回國。
③表示對過去已完了的事情的回想。如:
며칠전에 갔던 곳에 책을 도고 온것 같다.
好像是把書放在幾天前去過的地方了。
*形容詞和體詞謂詞形的“았던(었던,였던)”形一般能與“던”通用。如:
락후했던(학후하던) 우리 나라도 지금 부강한 나라로 되었다.
曾經(jīng)是落后的我國現(xiàn)在也成了富強的國家。
但用在動詞中的“았던(었던,였던)”與“던”不能通用。如:
잃어버렸던 만년필을 도로 찾았소. 丟了的鋼筆又找到了。